
(한국소통투데이 통신사=김동현 기자) 인천시사회서비스원은 인천 시민이 바라는 사회보장정책 방향을 찾기 위한 지역사회보장조사를 8월 23일부터 10월 20일까지 실시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내년 수립 예정인 제6기(2027~2030) 시·군·구 지역사회보장계획을 준비하는 법정 조사로, ‘사회보장급여의 이용·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에 근거해 시행되며, 인천시 사회보장정책의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조사는 한국갤럽이 수행하며, 인천의 10개 군·구에서 군·구별 600가구씩 총 6,000가구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대상은 일반가구와 특수욕구계층으로 나뉘며, 각각 300가구씩 선정된다. 일반가구는 통계청 자료를 활용해 무작위로 선정하고, 특수욕구계층은 군·구가 제공한 정보를 바탕으로 선정된 장애인, 노인, 아동, 저소득층, 다문화가정, 1인 가구 등이다.
모든 조사 자료는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철저히 관리·폐기된다. 해당 법률은 공공기관이 정해진 업무를 위해 정보를 수집·이용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조사는 전면 대면 방식으로 이뤄지며, 일반가구는 집계구 방식을 통해 전문 조사원이 방문하고, 특수욕구계층은 사전 전화로 일정 조율 후 방문한다. 설문은 테블릿PC를 활용해 진행되며, 시간은 10~20분 정도 소요된다. 전체 조사원은 예비 인력을 포함해 185명이다.
설문지는 총 27문항으로 구성되며, 가구의 일반 현황, 17세 이하 아동 및 65세 이상 노인, 장애인 가구의 돌봄 상태 등을 포함한다. 지역 특성도 반영해 옹진군 주민에게는 거주 계기, 육지 방문 빈도, 도서 지역에 필요한 자원과 서비스 등을 묻는 문항이 추가되며, 내년 2군 9구로의 행정 개편 내용도 포함된다.
테블릿PC에는 특수욕구계층을 위한 다양한 지원 기능이 탑재돼 있다.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어 영상, 발달장애인을 위한 쉬운 설문, 중국어·베트남어·영어 번역이 가능하며, 이중언어 가능 조사원 6명도 별도 선발됐다.
조사 결과는 올해 12월에 최종 보고서로 발표될 예정이다. 조사 책임을 맡은 이선정 인천시사회서비스원 정책연구실 연구위원은 “지역사회보장계획의 핵심은 주민의 욕구를 파악하는 것”이라며 “특히 특수욕구계층의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드린다”고 전했다.